- 협회소개
-
안녕하십니까?
지금의 현대 무술계 흐름은 이종격투기의 세계적인 붐의 영향으로 무술의 전통성보다는 실전성을 중시하는 성향이 짙어지고 있으며, 이에 틀에 박힌 전통적인 수련 방법보다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무술이 더 대중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사실 이제까지의 한국무술계 에서는 지나치게 틀에 박힌 형식적인 수련방식과 전통성을 너무 중시한 나머지 모양만 보기 좋고 전혀 실전성 없는 무술로 전락하여 현 이종격투기의 장에서 어떠한 전통의 한국무술도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졸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이는 분명 본인이 1993년도(UFC 최초대회를 보고)에 지금의 시대를 앞서 예견했던 전통한국무술들의 시대적 위기임이 분명합니다. 이러한 위기감은 외국에서도 현실로 나타나 이종격투기 챔피언들의 외국의 무술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실전성에서 강함을 증명하지 못한 우리의 무술들이 무시당하며 점차로 무술시장에서 외면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앞으로의 국내외의 무술시장에서 외국의 무술에 대항하기 위한 상품성 있는 새로운 한국브랜드의 강한 무술의 출현은 역사적으로 시급하며 우리나라의 국익과 자존심이 달린 중대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세계적인 무술의 흐름을 1993년부터 예견하고 평생을 걸쳐 관심을 가지고 심혈을 기울여 준비하고 연구해온 세계 각국의 강한 무술들을 한국무술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여 지금의 한국형 실전 종합무술(MMA)인 투혼(이종격투기형 종합무술)을 1993년부터 준비하여 한국최초(MMA)로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1992년에 서울 은평구에서 투혼정심관(태권도 합기도 킥복싱 격투기)의 종합무술도장을 운영하면서 국내에서 킥복싱, 무에타이, 격투기 등의 무술시합장을 전국 방방곡곡 찾아다니면서 제가 훈련시킨 제자들과 함께 실전성을 시험해본 결과 입식 격투기에서는 태국방식의 킥복싱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고, 많은 제자들이 무에타이와 킥복싱 격투기 챔피언으로 탄생하여 한국의 최정상급으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습니다.
거기에다 1989년 스승이신 박규재 선생님(브라질교포, 브라질합기도회장)으로부터 배운 주짓수과 삼보를 섞어서 1995년에 한국 최초의 MMA 방식의 “투혼 이종종합격투기” 의 기본 틀이 완성된 것입니다.
이는 본인이 유년시절부터 배웠던 한국무술(태권도 합기도 씨름...)들을 기본으로 하여 세계 각국의 실전무술들을 연구, 보완하여 더욱더 실전적인 무술로 거듭난 결과 1995년에 “투혼 이종(종합)격투기, 투혼주짓수” 이라는 신종 한국산 실전종합무술(MMA)을 한국최초로 탄생시켰으며 2002년에 브라질로 건너가 브라질 주짓수의 창시자(엘리오 그레이시)를 만나 인정받고, 많은 격려와 극찬을 받기에 이르렀습니다.
1993년도 우연히 외국으로부터 구하여 보게 된 비디오 태입 (UFC 대회)을 처음보고 그로부터 10년 후 2003년에 한국에도 이종격투기붐이 거대하게 시작되었고, 한국에서 남보다 십년 앞서 준비하여 만든 투혼시스템을 이종격투기 시장에서 증명하기위해 본인이 이끄는 팀이(투혼정심관)출전하여 한국 이종격투기 챔피언 70%-80%를 배출하여 언론에서 챔피언소굴 이라는 닉네임을 얻게 되었습니다.
투혼정심관의 제자로서는( 임재석, 이광희, 이치성, 홍주표,오창민, 이효진. 조정훈, 함서희, UFC 김동현,김창현,부산 정심관팀 MAD관장 양성훈...) 챔피언 22명 벨트 40개 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남기며 한국무술 투혼의 실전성을 증명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저희는 여기에 자만하지 않고 세계시장을 향한 작은 첫 걸음으로 생각하고 더욱 분발하여 세계 이종격투기의 중심에 태극기가 당당하게 설 그날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리겠습니다. 한번 더 노력하고 도약하는 투혼인의 모습을 여러분들의 따뜻한 사랑과 관심으로 지켜봐 주실것을 부탁드립니다.사) 대한이종격투기협회 대표
홍 영 규● 협회 로고
● 협회연혁
2002년~2009년 1. 브라질유술 창시자 엘리오그레이시 와의 만남.
2. 엘리오그레이시로 부터 한국형 실전 종합무술인「투혼 종합격투기」,「투혼 유술」을 극찬 및 인정받음. (* 홈페이지 엘리오 그레이시 인터뷰 내용 참조 )
3. 브라질리안 주짓수연맹 협회장(International Brazilian Jiu-jitsu)카를로스 그레이시 Jr.에게 브라질주짓수 한국협회의 지부권과 권한 을 인정받음.
5. 발리투도 브라질협회 회장 페드리고 후디마할(슈트복스 창시자) 로 부터 한국의 브라질 발리투도 한국협회를 인정받고 기술교류 하기로 약정
7. (사)대한이종격투기협회(투혼연맹) 속의 산하단체인「브라질발리투도 한국협회」, 「국제브라질주짓수연맹 한국협회」를 종주국 브라질로부터 국내 최초로 협회로 인정 및 국내 인가
9. 정심관 한국최초로 러시아 바에보에(코만도)삼보-(러시아 군용 특공무술 삼보) 한국협회로 인증.
10. 특공무술(코만도)의 창설- 러시아의 특수부대(스페츠나츠)특공무술 시스테마 스페츠나츠협회 와 기술교류
11. 크라브마가, 절권도, 사바테, 닌짓주, 북한 격술 등 을 연구 및 세계 각국의 단체들과 기술교류2010년 1 . 러시아 특공무술 시스테마 - 스페츠나츠한국협회로 정식 인가 : 러시아 시스테마 스페츠나츠(특공무술)협회.
2 . 제6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0년 2. 4(일) 오후 1시 / [장소] 투혼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3 . 제2회 스트라이커 킹 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0년 4. 14(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4 . 제7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0년 5. 20(일) 오후 1시 / [장소] 투혼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5 . 제8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0년 11. 4(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6 . 제3회 스트라이커 킹 이종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0년 12. 2(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2011년 1 . 제9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1년 1. 27(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2 . 제10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1년 3. 30(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3 . 제4회 스트라이커 킹 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1년 2. 17(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3 . 문화관광부장관 배 전국 유술 대회 출전 - 문화부장관상 수상 및 최우수도장 선정
- [일시] 2011. 6. 28(토)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잠실실내체육관)
4 . 제5회 스트라이커 킹 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1. 8. 24(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5 . 제6회 스트라이커 킹 이종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1. 12. 28(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2012년 1 . 제11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2년 2. 1(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2 . 제7회 스트라이커 킹 이종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2년 3. 29(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
3 . 제8회 스트라이커 킹 이종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2년 7. 26(일) 오후 1시 / [장소] 대한이종격투기협회 중앙연수원 (영등포 체육관)2013년 1 . 제9회 스트라이커 킹 이종입식타격대회 개최
- [일시] 2013년 2월 7 (일) 오후 1시
2 . 제13회 king of Ground 유술대회 개최
- [일시] 2013. 4월 11(일) 오후 1시